스탠포드 대학교 HAI(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에서 2017년 부터 매년 AI의 기술개발 진행상황과 AI가 사회 전반적인 부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는 방대한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3월에 발표하였으며 오늘은 보고서 세 번째 챕터의 내용인 “The Economy”에 대한 내용을 요약해봅니다.
Key Takeaways
브라질, 인도, 캐나다 등의 나라에서 AI job에 대한 채용이 많이 활발하였음. 반면 미국은 조사된 국가에서 유일하게 2019-20년 기간 동안에 채용이 줄어든 나라였는데 이는 COVID-19나 시장 성숙도의 영향으로 추정함. AI skill 중에서는 machine learning이 미국에서 수요가 가장 높았음.
AI 스타트업에 대한 private investment의 총 금액은 전년 대비 9.3% 늘어났지만 대상 스타트업의 수는 반 정도(2,000→1,000) 줄어들었음. Private investment의 대상 국가는 미국, focus area는 제약 분야의 “Drugs, Cancer, Molecular, Drug Discovery”쪽으로 쏠렸음
전 세계 각 나라의 다양한 직업에서 조사한 AI skill penetration rate을 보면 인도가 가장 높고 그 뒤로 미국, 중국 순이었음. 우리나라는 글로벌 평균에 가까움.
1. Jobs
1.1 AI Hiring
이 섹션에서는 각 나라별로 AI 일자리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는지 조사하였으며 LinkedIn 데이터를 이용하여 AI hiring rate을 계산하였음. AI hiring rate은 1) AI skill이나 AI 관련 직장을 자신의 프로필에 추가하였고 자신의 새로운 직장을 시작한 달에 고용주를 추가한 LinkedIn 멤버들의 수를 2) 전체 멤버 수로 나누어서 계산함. 보고서에서는 2016년 AI hiring rate의 값을 index(1.0)화 하였고 이를 연간 hiring이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상대평가 하기 위한 baseline으로 잡았음. 예를 들어 2020년 12월에 인덱스 값이 1.05가 나오면 이는 hiring rate이 2016년에 비해 5% 높아졌다 평가하는 것임
위 Figure 3.1.1을 보면 조사된 모든 14개국에서 AI hiring은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2016년에 비해서 2020년에는 2.2배 정도 성장한 것으로 결과값이 나왔음.
1.2 AI Labor Demand
이 섹션에서는 온라인 채용 사이트에서 잡 포스팅을 수집하는 analytics firm인 Burning Glass의 데이터를 참고하였으며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싱가폴의 AI Labor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였음.
위 Figure 3.1.3 을 보면 평균적으로 전 직종 포스팅 대비 AI 직종의 전체 share(%)는 2013년에 비해서 5배 정도 성장하였음. 2019-20년에는 미국에서의 AI job posting share만 줄어들었는데 이는 COVID-19의 영향 혹은 상대적으로 성숙한 미국의 AI labor market 때문인 것으로 추정함. 미국에서 포스팅된 AI job의 수도 2018년에는 325,724개에서 300,999개로 8.2% 줄었음
위 Figure 3.1.4는 미국에서 AI skill 구분에 따른 labor demand를 보여주며 Machine Learning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함.
위 Figure 3.1.5는 미국 내 각 산업 별 AI job posting share을 보여줌
1.3 AI Skill Penetration
LinkedIn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한 AI Skill Penetration Rate(ASPR)은 각 직업에서 요구되는 50가지 스킬 중에서 AI 관련 skill 들이 얼마나 포함되는지 확인함.
위 Figure 3.1.8은 각 나라의 ASPR값을 글로별 평균 ASPR값으로 나눈 것으며 인도의 경우 글로벌 평균의 3배에 살짝 못 미치는 AI skill penetration이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위 Figure 3.1.9는 각 나라의 산업별 ASPR 값을 보여줌
2. Investment
2.1 Corporate Investment
2019년에 비해서 전세계 AI 투자는 40% 증가하였음.
2.2 Startup Activity
AI 스타트업에 대한 private investment은 2019년 대비 9.3% 늘어나서 총 투자금액이 $40B를 넘었지만 투자대상인 스타트업의 수는 2019년에는 2,000개가 넘었지만 2020년에는 1,000개도 되지 않았음. 검증된 기술/스타트업을 선호하는 쪽으로 바뀐 투자자들의 성향이 원인이 아닐까 추정함.
위 Figure 3.2.5를 보면 지역적으로 구분하였을 때 미국에 투자된 private investment 금액이 2015년부터 2020년 까지 꾸준히 다른 지역을 압도하였음을 확인함.
위 Figure 3.2.6을 보면 제약 분야의 “Drugs, Cancer, Molecular, Drug Discovery”에 대한 투자 금액이 전년 대비 4.5배 증가(총 $13.8B)하였음을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