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컨설팅펌인 Deloitte에서 2019년에 연 매출 $100 million 이상인 기업들의 1,386명 임원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서베이 결과를 바탕으로 2020년에 블록체인에 대한 산업트렌드를 발표하였습니다.
Key Takeaways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기업이 관심이 높고 투자도 높아지고 있지만 large scale adoption에 도달하려면 아직 시간이 걸림
산업의 성숙하면서 경쟁-협력 관례에 있는 기술플랫폼 구성원 간 consortium 구성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기술보단 human factor가 limiting factor가 될 수 있음)
블록체인은 전 산업에 영향을 주지만 그 중 헬스케어에 특히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함(clinical trial, pharmaceutical supply chain, digitizing health records)
1. Hype is over
예전에는 기술에 대한 신뢰문제로 블록체인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이 많았음
이제는 기술/산업이 성숙해가면서 사용가능한 솔루션 개발에 관심을 가지는 기업들이 늘어남
기업투자 증가 : 응답자 중 40%가 블록체인에 $5M 이상 투자할 것을 계획
다양한 사용목적 : Data validation, Data access/sharing, Data identity protection 순
블록체인이 해결하는 기업의 문제 :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기업 데이터의 양, centralized process의 비용 절감
2. Evolving Platforms
그동안 블록체인 생태계에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음
2018년 : 과장되거나 사기성 프로젝트이 많아서 생태계 정화에 대한 인식 증가
2019년 : VeChain, Corda, Hyperledger, Ethereum 등 경쟁력 있는 플랫폼의 등장 및 성장
2020년 : 기업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들이 업계 선두로 나섬
좌 :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feature 3가지(Decentralization, Scalability, Security)는 속성 상 서로 trade-off 관계에 있으며(blockchain trilemma) 이에 따라 플랫폼들은 3개 중 2개에 집중함
우 : 상기에 언급한 블록체인 플랫폼들은 자신들의 focus needs에 따라서 집중하는 feature combination이 달라짐
대부분의 기업에 적합한 네트워크 형태
Permissioned: write/commit 기능 제한
Private: join/read 기능 제한
High scalability
3. Adoption rates across industries
대부분의 산업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투자를 늘릴 계획
Technology, Media, Telecom : 투자에 가장 적극적임
Life science & Healthcare : 블록체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분야로 예상함(clinical trial, pharmaceutical supply chain, digitizing health records)
4. Governance is critical
기술이 성숙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의 large-scale adoption을 위해서는 협력 및 경쟁관계에 있는 생태계의 다양한 참여자들이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합치는 것(coopetition)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이를 위해 블록체인 consortia를 구성하는 것이 필수적임
Consortia Governance Model은 구성, 성격, funding 구조에 따라 1) Working group, 2) Private Sector Entity, 3) Hybrid 등 이상 3가지로 나뉨
5. The Rise of Tokens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에 대한 인식이 많이 퍼지면서 토큰(Token)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커지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mainstream adoption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